잉여류(Residue class)
잉여류는 정수 a와 법 m에 대해 합동인 모든 정수의 집합이다. |
예를 들어서 5를 3으로 나누면 2가 남는다.
3으로 나누어 2가 남는 수는 또 뭐가 있을까?
8, 11, 14...가 있다.
즉 이들 수는 '3처럼 5로 나누어 2가 남는 수'라고 말할 수 있으며
'3의 법 5에 대한 잉여류/합동류'라고 표현하며
a 위에 작대기를 그어 표현한다.
$\bar{a}$
완전잉여계(Complete Residue System)
$\{a_1, a_2, \dots , a_m \}$에서 $a \equiv a_i \pmod{m}$인 $a_i$가 유일하게 있을 때, $\{a_1, a_2, \dots , a_m \}$를 완전잉여계라고 한다. |
잉여류는 a와 m, 두 숫자가 있으면 정해진다.
m=10이라고 하자. a가 뭐가 되었든
잉여류는 10가지 중 하나다.
0이 남는 수들, 1이 남는 수들, 2가 남는 수들... 9가 남는 수들.
이렇게 법 m에 대한 m 가지 서로 다른 잉여류에서
하나씩 수를 뽑아 만든 집합을
법 m에 대한 완전잉여계라고 한다.
m=10이라면
0이 남는 수 중에는 30,
1이 남는 수 중에는 11,
...
9가 남는 수 중에는 289를 뽑아
완전잉여계를 만들 수 있다.
제일 간단한 완전잉여계는
$\{0, 1, \dots m-1 \}$일 것이다.
기약잉여계(Reduced Residue System)
$\{a_1, a_2, \dots , a_m \}$가 법 m에 대한 완전잉여계일 때, 여기서 m과 서로소인 원소만 모은 집합을 법 m에 대한 기약잉여계라 한다. |
완전잉여계는 일종의 대표선수다.
다들 m으로 나눈 나머지들의 대표다.
나머지가 0인 수들의 대표, 1인 수들의 대표...
완전잉여계가 하나 나오면
이 수 중에 m과 서로소인 것만 남기자.
예를 들어 법 4에 대한 완전잉여계가
{4, 17, 10, 35}라고 하면
기약잉여계는
{17, 35}다.
(*참고로 0은 서로소가 아니다)
m이 소수라면
완전잉여계가 곧 기약잉여계다.
기약잉여계의 원소 수는
오일러 파이 함수와 같다.
(오일러 파이 함수가 'n보다 작으며 서로소인 수의 개수'니 당연할지도.)
2보다 큰 m에 대한 기약잉여계에서
원소를 모두 더한 수는 m에 맞아떨어진다.
원시근(Primitive Root)
원시근 n과 서로소인 모든 수를 법 n에 대한 거듭제곱으로 나타내는 수 |
어떤 기약잉여계가 있다.
이때 이 기약잉여계의 모든 원소를 어떤 수의 거듭제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것을 원시근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법 7이 있다.
7에 대한 완전잉여계는 {0, 1, 2, 3, 4, 5, 6}이다.
7은 소수이므로 기약잉여계는 {1, 2, 3, 4, 5, 6}이다.
법 7에 대한 원시근은 3인데, 3의 거듭제곱으로
모든 기약잉여계 수들을 합동식으로 쓸 수 있기 때문이다.
3^6 = 729 - 7로 나누어 1이 남는다.
3^2 = 9 - 7로 나누어 2가 남는다.
3 = 3 - 7로 나누어 3이 남는다.
3^4 = 81 - 7로 나누어 4가 남는다.
3^5 = 243 - 7로 나누어 5가 남는다.
3^3 = 27 - 7로 나누어 6이 남는다.
한 법에 대해 원시근은 없을 수도 있고, 여럿일 수도 있다.
(5도 법 7에 대한 원시근이다)
원시근 찾기
원시근을 찾는 특별한 공식은 아직 없지만,
일일이 찾는 것보다는 빨리 찾는 법이 있다.
첫째, 원시근이 존재할 조건
우선 원시근은 오직 m이
2, 4, $p^k$, $2p^k$일 때만 존재한다.
(p는 홀수 소수, 즉 2를 뺀 소수)
2, 3, 4, 5, 6, 7, 9, 10, 11, 13...가 원시근이 있다.
둘째, 다른 원시근 찾기
m보다 작으며 m과 서로소인 수의 개수, $\varphi (m)$을 구한다.
$\varphi (m)$와 서로소인 수 k를 구한다.
원시근 g가 존재한다면,
$g^k$도 원시근이다.
$\varphi (m)$와 서로소인 수 k는 $ \varphi (\varphi (m))-1$개가 존재하므로
원시근은 g를 포함해 $ \varphi (\varphi (m))$개가 존재한다.
(만약 존재한다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 무아브르의 정리 (0) | 2018.08.26 |
---|---|
티스토리 표 가운데 정렬하기 (0) | 2018.08.10 |
개나 소나 이해하는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3부) (0) | 2018.08.07 |
오일러의 정리(Euler's theorem) (0) | 2018.08.06 |
개나 소나 이해하는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2부) (0) | 2018.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