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찬범의 파라다이스
글쓰기와 닥터후, 엑셀, 통계학, 무료프로그램 배우기를 좋아하는 청년백수의 블로그
트위터로 소설을 쓴다는 것
반응형




트위터에서 활동하시는 140자 소설(@gerecter2)님은 140자 이내로 소설을 써서 트윗에 올립니다. 인기가 붙었는지 지금까지 쓴 '소설'들을 종이책으로 인쇄해 판매할 계획까지 세웠습니다. 이 '소설'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소설은 얼마나 길어야 소설로 인정받을까요? 신춘문예나 공모전에서는 단편소설 분량을 200자 원고지 80장으로 규정합니다. 장편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원고지 1000장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소설은 긴 쪽으로는 한계가 없어 보입니다. 재미만 있다면 1000장이든 10000장이든 상관이 없죠. 하지만 짧은 쪽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트위터라는 소셜 서비스가 등장할 때부터 우리는 예상했어야 했습니다. 트위터는 단지 일상을 전달하는, 즉 해변에 누운 자기 몸이나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 사진만 올리는 서비스가 아님을. 비록 140자라는 한계가 있지만 엄연히 누군가에게 말을 하는 창구였음을. 메시지는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이나 정당 홍보, 자기PR, 요리법, 사자성어 등등. 물론 트위터도 엄연한 글이기 때문에, 문학을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작가들은 트위터에 도전했습니다.


트위터가 종이책과 다른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트위터 그 자체입니다. 트위터는 빠릅니다. 종이책은 출판하고 독자에게 다가가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나 트위터에 소설을 올리면 순식간에 독자에게 전달됩니다. 독자가 서점에 들를 필요도 택배를 기다릴 필요도 없습니다. 도대체 내 작품이 무슨 취급을 받는지 작가는 전전긍긍하지 않습니다. 바로 반응이 올라오니까요. 어디서나 접속하고 어디서나 반응이 가능합니다. 트위터의 다른 특징은 매우 현실적이라는 겁니다. 물론 소설은 현실이 아니라 허구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트위터가 일상이라는 가정을 하기 때문에, 소설이 트위터로 전개되면 종이보다 더 긴장을 풀고 바라볼 수 있습니다. 실제 어느 외국 작가는 트위터 계정들을 만들고, 자기가 만든 등장인물들 계정으로 바꾼 다음에, 인물들을 조종하면서 일종의 '상황극', '혼자놀기'와 비슷한 문학을 만들어냈습니다.


140자가 소설을 쓰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확실히 140자 내에 기승전결과 갈등, 반전과 여운을 다 담기엔 역부족일 수 있습니다. 140자에 소설을 쓰려면 기승전결을 모두 포함시키거나, 모두 암시하거나, 아니면 모두 생략해야 할 겁니다. 그러나 짧은 글은 짧은 대로 매력적입니다. 다 설명하지 않아서 상상할 여지를 줍니다. 짧아서 읽는 부담도 덜하지만, 잘만 쓴다면 촌철살인의 메시지를 던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소설이 아니라 시라고 말할 겁니다. 누군가는 그저 호기심에 벌인 일이지, 진지한 소설이라고는 하지 않을 겁니다. 140자는 도전입니다. 확실히 성공하지 못하면 오히려 쓰는 자신이 다칠 겁니다. 요구사항도 많고 머리 싸맬 과제도 많을 겁니다. 하지만 140자, 그것도 소셜 네트워크에 등장한 소설들은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이런 도전들이 그저 문학 주전부리로 끝날지 교보문고 진열대에 놓일지는 지금도 140자에 세계를 담으려는 작가들에게 달렸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